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olab

[ 코랩과 파이썬 ] 13. python 필터 filter 함수 (isinstance 함수 포함) 1 filter() 함수의 사용 filter() 함수는 리스트나 튜플 등 컨테이너(container) 자료에서 특정 조건에 맞는 객체들을 하나씩 가져와 리스트를 만든다. 리스트에서 홀수나 짝수를 뽑는다든지 10 이하의 값들 추출하는 등 조건에 맞는 값을 필터링한다. 사용방법은 filter( ) 안에 조건 함수와 추출할 데이터를 넣는다. filter(함수, 컨테이너 데이터(리스트/튜플/집합/딕셔너리)) list_1 = [1, 2, 3, 4, 5, 6, 7, 8, 9, 10]에서 짝수를 필터링하는 함수를 만들어 보자. filter() 함수를 이용해 True인 값(짝수)만 추출한다. list_1 = list(range(11)) # [1, 2, 3, 4, 5, 6, 7, 8, 9, 10] 생성 # 짝수 추출함수.. 더보기
[ 코랩과 파이썬 ] 6. python 조건문 if, elif, else, 한 줄 if 문 1) 조건문(if, elif, else) (1) 단일 조건문 조건만 if문은 단어뜻 그대로 "만약 ~라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조건에 맞으면 실행하라는 명령문이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명령문 중의 하나로 사용 빈도 역시 가장 높다. if 문의 형식은 if(~라면), elif(~라면), else(그렇지 않다면)로 구성된다. if 조건: elif 조건: elif 조건: ..... else: 영화를 추천해주는 AI와 대화를 한다고 가정해 보자. AI가 당신에게 “오늘은 어떤 장르의 영화를 보고 싶으세요?”라고 물으면, 당신은 “액션”, “로맨스”, “SF”, “코미디” 중 하나의 답을 하게 된다. 그럼 AI는 해당 장르의 영화를 추천해 준다. if 문이 있는 행 끝에서 : 로 조건을 끝내고 .. 더보기
[ 코랩과 파이썬 ] 5. python 자료 인덱싱 indexing과 슬라이싱 slicing 1) 하나의 데이터 위치 확인 및 추출(indexing) 파이썬 데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객체를 찾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원하는 값을 찾을 수 있어야 수정 및 보완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파이썬에서 객체를 찾는 방법은 자리의 위치를 지정하고 그 위치로 찾아가는 것이다. 데이터의 객체가 있는 위치를 인덱스(index)라고 하고 위치를 찾아가서 값을 추출하는 작업을 인덱싱(indexing)이라고 한다. 파이썬 데이터에서 첫 번째 자리 인덱스 값은 0이고 다음부터 1, 2, 3 등 한자리씩 증가한다. 반대로 가장 마지막 값을 -1로 인덱스하고 역방향으로 -2, -3, 등 -1씩 증가시킨다. 해당 자리를 찾아가기 위해서는 [ ]을 사용하고, 첫 번째 자리를 찾아가고 싶으면 [0]으로 나타낸다. 그럼, 데이터.. 더보기
[ 코랩과 파이썬 ] 4. python 자료 연산과 연산자 operators 프로그래밍에서 연산자(Operator)는 구하고자 하는 표현식을 수행할 계산 유형을 지정하는 기호 또는 문자를 의미한다. 파이썬에서 이러한 기능을 하는 연산자는 산술 연산자(Arithmetic Operators), 비교 연산자(Comparison Operators), 할당 연산자(Assignment Operators), 논리 연산자(Logical Operators), 멤버 연산자(Membership Operators), 식별 연산자(Identity Operators)가 있다. 1) 산술 연산자(Arithmetic Operators) 산술연산자는 사칙연산으로 이뤄진 연산자(+: 다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나눈 나머지, **: 자승, //: 나눈 몫)이다. 숫자형 자료 연산 숫자.. 더보기
[ 코랩과 파이썬 ] 3. python 컨테이너 container 자료: list, tuple, set, dictionary 1) 파이썬 컨테이너 자료 유형 컨테이너(container) 자료는 스칼라(scalar) 자료를 여러 개 담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컨테이너 자료는 고유한 특성에 따라 4가지로 구분된다. 리스트(list) : 순서와 중복을 허용하는 값들의 모임으로 문자, 숫자 등 다양한 형태의 값을 가질 수 있음(ex. [’a’, ‘a’, ‘c’], [1, 2, 2], [1, ‘a’, 3]) 튜플(tuple): 리스트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객체(object)를 수정할 수 없음(ex. (’a’, ‘a’, ‘c’), (1, 2, 2), (1, ‘a’, 3)) 집합(set): 순서와 중복을 허용하는 않는 값들의 모임(ex. {’a’, ‘c’}, {1, 2}, {1, ‘a’, 3}) 딕셔너리(dictiona.. 더보기
[ 코랩과 파이썬 ] 2. python 변수와 스칼라 scalar 자료: 숫자, 문자, 불리언 1) 변수(variable) 파이썬 자료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변수에 대해서 명확히 알아야만 한다. 변수(variabe)는 변하는 값을 의미하며 변인이라고 한다. 변하지 않는 값은 변수가 아니라 상수(constance)라고 한다. 여성만 있는 학교에서 성별은 변수가 아니라 상수이다. 하지만 남녀 공학에서 성별은 남성과 여성으로 변하는 값이기 때문에 변수가 된다. 이처럼 변수는 변하는 값을 가져야 한다. 변수의 역학은 값을 저장하거나 담아 놓는 것이다. 하지만 이 값은 언제든지 다른 값으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soccer 라는 변수를 만들어서 “손흥민”을 저장하려면, soccer = “손흥민” 으로 표현한다. 이때 “손흥민”은 언제든지 다른 값으로 바뀌거나 다른 값이 추가될 수 있다. 변수명은 임..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