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빅데이터분석

[ 코랩과 파이썬 ] 16. python random 모듈에서 sample, choices, choice, shuffle 함수로 데이터 추출하기 1. sample, choice, choices 함수 지난 블로그에서 random 모듈의 random 함수를 이용해 난수를 추출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random 모듈에서 리스트, 튜플 등 컨테이너 자료에서 일부를 랜덤하게 뽑아내는 작업을 수행해 보자. 랜덤하게 뽑아내는 작업을 표집(sampling)이라고 하고, 뽑힌 값들의 모임을 표본(sample)이라고 한다. 무작위 랜덤 표집 방법은 모집단의 대표성을 확보하도록 표본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통계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파이썬 random 모듈에서 랜덤하게 표본을 뽑는 함수는 sample, choices, choice가 있다. sample은 중복 없이 원하는 수만큼 무작위로 출하는 방법이고, choices는 중복을 허용해서 랜덤하게 추출한다. 예.. 더보기
[ 코랩과 파이썬 ] 12. python 람다 lambda 함수와 맵 map 함수 1. 람다(lambda) 함수 람다(lambda)는 한 줄 if 문과 for 문처럼 한 줄로 나타낼 수 있는 함수이다. 프로그램을 한 줄로 짜게 되면 연산 속도로 빠르고 알고리즘이 짧아지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이다. 특히 다음에 배우게 될 map(), filter(), reduce() 함수와 같이 사용하면 강력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람다 함수는 def 함수와 다르게 함수명 없이 바로 실행문을 수행한다. 그러다 보니 지정된 함수명을 계속해서 불러와 사용할 수 있고 일시적으로 단 한 번 사용할 때 가장 적절하다. 람다함수는 lambda 매개변수 : 실행문으로 표현한다. lambda 매개변수 : 실행문 함수를 필요할 때마다 불러오도록 정의하는 def 와 일시적인 사용을 위한 lambda 의 표현 방식은 함.. 더보기
[ 코랩과 파이썬 ] 10. python 표준 입출력 input, print 1) 표준 입력(input) 컴퓨터에서 표준 입력장치는 키보드와 마우스이며 이를 이용해 입력한 문자와 숫자는 파이썬 표준 입력 함수 input()을 통해서 파이썬 프로그램에 입력된다. input() 함수는 박스형 형태의 입력창인 콘솔 창을 통해서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받는다. 즉, input() 함수를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박스 창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그곳에 원하는 값을 입력한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input() 함수에 의해 입력된 모든 값은 "문자열" 타입으로 반환하기 때문에 사용하고자 데이터 타입으로 바꿔줘야 한다. 만약 정수를 사용하고 싶다면 int(input())로, 실수는 float(input()), 불리언 자료는 bool(input())으 변화함수를 이용해 자료 타입을 변환한다. 입력값을 친절.. 더보기
[ 코랩과 파이썬 ] 7. python 반복문 for 문, 한 줄 for 문과 if 문 반복문에는 for 문과 while 문이 있고 이를 사용하면 같은 계산을 반복하거나 중복된 명령문을 간략히 구현할 수 있다. 두 구문의 차이는 반복할 횟수를 정확히 알고 있느냐 없느냐에서 발생한다. for 문은 몇 번 실행해야 하는지 정해져 있거나 list 등 컨테이너 자료처럼 객체의 개수(length)가 유한할 때 사용한다. 그래서 for 문을 유한 반복만이라고도 한다. while 문은 몇 번 실행해야 할지 정확히 모르지만, 조건에 맞는 값이 존재하는 한 반복을 계속하게 된다. 해당 조건이 없거나 맞지 않다면 while 문은 무한 반복(루프)을 하게 되고 while True를 이용해 일부러 무한 반복을 만들기도 한다. 먼저 for 문 분터 살펴보도록 하자. 1) 단일 for 문 for 문은 정해진 수만큼.. 더보기

반응형